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ABC 지역주도형 청년 취업역량강화 ESG 지원산업

[ABC 220902 - 14일차] 5번째 특강

반응형

ESG

Environment

  • 기후 변화 및 탄소 배출
  • 환경 오염
  • 대기 및 수질 오염
  • 생물의 다양성
  • 삼림 벌채
  • 에너지 효율
  • 폐기물 관리
  • 물 부족

Social

  • 고객 만족
  •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 성별 및 다양성
  • 지역 사회 관계
  • 인권
  • 노동 기준
  • 공급망 관리

Governance

  • 이사회 구성
  • 감사 위원회 구조
  • 뇌물 및 부패
  • 로비 및 정치 기부금
  • 기업 윤리

“공생” 의 혁신 창업 지원 사례(ESG 중 S 부분)

  1. 실험실 창업팀 MVP 제작 , 멘토링 지원 프로그램(카이스트 주최, 105명 참여)
    1. ESG창출을 위한 기술 활용 멘토링, 창업팀 심리 진단 및 멘탈 케어 지원
  2. 글로벌 사업 koica cts
    1. 라오스 불발탄 피해 절단 장애인을 위한 다목적 맞춤 의수 및 자립 생활용 보조기기 자급화 실증사업

“공생_사업방향”

비전 : 소셜테크를 통한 삶의 질 상향 평준화

소셜테크 : 장애인을 위한 ‘에이블테크’, 노인을 위한 ‘실버테크’, 모두를 위한 ‘유니버셜디자인’ 등 사회문제해결형 기술 및 전문 디자인

글로벌 임펙트 : 기술 기반으로 사회/국제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모델

STARTUP - 소셜벤처

창업, STARTUP

메이커란?

: 발명가, 공예가, 기술자 등 기존의 제작자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손 쉬워진 기술을 응용해서 폭넓은 만들기를 하는 대중.

Mark Hatch(Techshop / CEO, Co-Founder)

컴퓨터로 디자인하고 데스크톱 제조 기계를 사용해 시제품을 만들며 본능적으로 자신의 창작품을 공유하는 특징을 가진 웹 세대

Chris Anderson(3D Robotics/CEO)

무언가를 직접 만드는 사람, 메이커 운동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과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자신을 필요로 하는 것을 열정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

Dale Doughe (Make 창간자)

소설벤처_기술 전제

  • 우리가 기술을 고려하는 데 있어서 사람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협력 관계)
  • 우리가 생각하는 ‘문제’ 란? : 필요(어떤 것이 필요한지, 문제 사항) → 우리가 갖고 있는 기술을 어떤 식으로 사용할 것인가?
    • 문제란?
      •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 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 사회문제란?
      • 사회 제도나 사회 구조의 결함, 모순에서 생기는 문제
      • 개인이 해결할 수 없음
      • ex) 소득 양극화 심화, 불안정한 노후, 집값 불안정, 일/생활 불균형, 플라스틱 사용과 배출
      • 환경 문제가 가장 주목해야 함(친환경, ESG 이런 것을 이야기 하는 이유는 세계적으로 부상한 사회문제이기 때문이다.)
  • 사회적 경제 조직의 유형과 특징
    • 소셜벤처 : 기술을 갖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함께 창출
      • 미션 : 재무적 수익+사회적 가치
      • 특성 : 혁신성, 모험성 + 사회성, 민주성
      • ex) ‘닷워치’ (DOT watch), 설리번+(간편한 인공지능 기능 → 촬영하면 음성으로 알려주는 서비스), 로봇(퍼스널 로봇 → 거동이 불편한 노인 및 장애인들이 국가 지원을 받아 이용할 수 있는 저 비용 퍼스널 로봇 개발 계획), Makers Making Change(보조기기 개발 사례 공유 및 request(개발 요청) 기능)

  • 소셜벤처 생태계 조성
    1. 사회적 경제의 부실한 경쟁력으로 지속적인 경영 어려움
    → 과학기술 전문인들이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를 창출
    1. 공동협업수익모델을 만들기 위한 해결책
    → UD 제품, SDG제품 개발을 통한 협업 서비스
  • → 보조기기 개발, 취약계층 협력 교육 비즈니스

SDG(지속가능발전지표) -GDP, MDG

국가평가? _ SDG, GDP, MDG

  • GDP, 국내총생산
    • ‘우리나라 안에 잇는 모든 사람이 생산한 가치’
    • 세계화가 진행되며 외국에서 일하는 한국인도, 우리나라에서 일하는 외국인도 많아져 현대는 주로 GDP를 사용
  • SDG(지속가능발전지표)란
    • 지속가능한발전목표는 ‘지속 가능한 발전’ 을 위한 국제적인 약속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이란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오늘날의 필요도 충족시키는’ 개념으로 사회와 경제 발전에 더불어 환경 보호를 함께 이루는 미래 지향적인 발전을 의미한다.
    • 17개의 대목표와 144개 정도의 소목표가 존재한다.
    • 17개의 목표 중, 8번째 목표 안에 GDP가 포함된다.
  • MDG(새천년개발목표) VS SDG(지속가능발전목표)

ESG(비재무성과지표) - CSR, CSV

이제는 협력의 시대 CSR, CSV, ESG

  • 지역 사회, 소외 계층과의 협력, 공존 그리고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CSR, CSV, ESG가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대두되고 있음.
  • CSR을 하는 이유는 세금,,,? 사회공헌을 하지 않으면 기업이 성장하고 유지를 위한 일이었음 BUT 남는게 없어서 남는 것을 만들자! 라는 의미로 CSV를 만듦.
  • CSV는 상호 가치 창출. 사회공헌을 하는 자원을 갖고 기업에게 이익이 되게 만든 것. (주는 사람 받는 사람 모두 좋은) ex) 커피회사 네슬레(?)
  • ESG는 우리가 재무적인 성과 뿐만 아니라 다른 성과도 있어야 기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 SDG와 ESG는 행동은 같지만, 목적이 다름(SDG는 국제적인, 세계적인 발전을 위한, ESG는 기업을 위한)
  • 모든 복잡한 문제에는 단순하고 깔끔하며 잘못된 해결책이 존재한다 - 헨리 루이스 멩켄
  • ‘기업의 목적은 주주 이익의 극대화이고 비즈니스 성공 여부는 매출과 이익이다’ 라는 단순하고 깔끔하며 잘못된 정의가 유발한 복잡한 문제들

이제는 협력의 시대 ESG 사례_남양유업 갑질

  • 실제로도 ESG 취약성은 재무적 실적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줌.
  • 기업의 운영 방식, 지배 구조로 인해 회사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음.

이제는 협력의 시대 ESG 필요성

  • 과거 기업에게 환경과 사회란?
    • 환경 변화로 인한 좌초자산, 그리고 사회 변화로 인한 우발 채무가 급증

  • 현재 기업에게 환경과 사회란?
    • 환경, 사회를 포용한 ESG전략으로 위기 관리, 기업 가치 상승 등 지속 가능 토대 마련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Blackrock & 미국의 ‘전경련’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 주주 이익 극대화가 비즈니스의 장기적 성과를 망칠 수 있음을 인정
    • ‘목적과 이익’은 항상 함께 해야 하며, 사회에 어떻게 기여함을 보여줘야 함
    • ‘주주 이익 극대화’가 아닌, ‘모든 이해 관계자의 가치 창출이 기업의 목적’ → 미국 경영인 협회
  • ESG가 필요한 이유는 재무적인 성과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인 성과도 같이 존재해야 회사가 성장할 수 있다.
  • 기업의 진정성 있는 사명 실천이 기업의 진짜 경쟁력이 되는 이유
    • 이제는 소비자에게도 이런 E, S, G적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 내가 이걸 구매했을 때 사회적으로 어떤 좋은 점이 있는가 하는 느낌,,,? )

ESG 배경

  • 지속 가능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 가장 중요한 논점은 시민 의식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런 인식의 변화가 빠름, 대부분의 변화가 모두 빠름….)

ESG 진단 및 활용 방법

적정 기술 - 글로벌 문제 해결 기술, CTS

적정기술 조건

  • ‘적정기술’ 이란 그 기술이 사용되는 사회 공동체의 정치적, 문화적, 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기술
    • 강사님의 개인적인 생각 : 원래는 원조를 위한 기술인 것 같은 인식이었지만, 현재는 다름! 누군가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해야 한다.

다양한 국가의 적정기술 사례

  • 그 나라 사람들이 해당 기술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알아야 이상적인 적정기술이라고 생각.

보조기기?

  • 보조기기란
    • 장애인 등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향상, 보완하고 일상 활동의 편의를 돕기 위해

보조기기 기술을 통한 글로벌 문제 해결(코이카 CTS)

  • 문제 상황
    • 불발탄 피해 절단 장애인 다수
    • 불발탄 피해 지역 보조기기 공급 한계
    • 장애에 따른 빈곤
  • 다목적 맞춤 의수 및 자립생활용 보조기기 공금 → 보건의료, SDGs3(건강과 복지증진)
  • 제작 역량 교육 → 교육, SDGs4(양질의 교육)
  • 제작기술 지원을 통한 현지 자급화 → 과학, SDGs8(양질의
  • 기술개발 솔루션
    • 다목적 맞춤 의수 및 보조기기 제작 공급
    • 절단부위 3D 스캔 → 데이터 베이스화 → 의수 및 보조기기 3D 설계 → (슬라이싱) → 3D 프린터 출력 → 사용성 평가 → (수정 및 보안) → 의수 및 보조기기 공급
  • 사업 목표
    • 기술 개발 솔루션
      • 솔루션 1 : 다목적 맞춤 의수 및 보조기기 제작/공급
      • 솔루션 2 : 3D 제작 기술 교육/보급을 통한 자급화
    • 달성 목표
      • 자립생활
      • 교육권 향상
      • 경제 성장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