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SK하이닉스 청년 Hy-Po 4기

[청년 Hy-Po 서포터즈 2기] MISSION 06. 반도체 Study with 청년 하이포 (반도체 기업 분석편)

반응형

[서포터즈 MISSION 06. 반도체 Study with 청년 하이포] - 반도체 기업 분석편

 

안녕하세요!

SK 하이닉스 청년 Hy-Po 4기 교육생이자 서포터즈 2기로 활동중인 교육생 김세영입니다!

 

이번 미션은 청년 Hy-Po 서포터즈 2기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미션인 반도체 Study with 청년하이포 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활용해서 반도체 산업/직무/기업을 선택하는 건데요.

저는 욕심쟁이인지라...ㅎㅎ😅😅

하나만 하지 않고 직무, 기업 두가지를 분석해볼 예정입니다.

 

이번편은 바로 반도체 기업 분석편인데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업 두 곳,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해볼 예정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손꼽히는 만큼 분석을 해본다면 필수적으로 두 곳을 해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러면 반도체 기업 분석편 바로 시작해볼까요?😊😊😊


1️⃣ 삼성전자 기업분석

[출처] 삼성전자

🔍 삼성전자, 어떤 기업일까?

  •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되어 각종 전자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전자기업이자 전세계 278개의 법인을 운영하는 글로벌 전자기업
  • 사업 부문
    • DX 부문 (72.5%)
      • Device eXperience 부문은 전자 제품 설계, 제조, 판매, 마케팅, 유통을 담당
      • TV, 오디오,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과 갤럭시,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폰 등이 포함
      • 가전제품 쪽에서 매출이 하락하여 2021년 조직개편을 통해 아이폰과 태블릿을 취급하던 IM 사업과 통합하였다.
    • DS 부문 (21.5%)
      • Device solution 부문은 반도체의 설계, 제조, 판매, 마케팅, 유통을 담당
      • 메모리사업부, System LSI 사업부, Foundry 사업부로 구성
      • 메모리 사업부 : DRAM , NAND 등을 생산
      • System LSI 사업부 : 모바일 AP,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구동칩, 마이크로컨트롤러 설계
      • Foundry 사업부 : 반도체 설계 기업의 수주를 받아 반도체 위탁 생산을 진행
    • SDC 부문 (10.4%)
      • Samsung Display Co. 
      • 중소형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개발
    • HARMAN 부문 (5.0%)
      • 2017년 삼성이 인수한 프리미엄 오디오 및 커넥티드 카 제품의 선두주자인 Harman international
        (미국의 전자장비 전문기업)
      • 커넥티드카용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보안 등의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기업
      • 2021년부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하였음.

 

🔍 재직자가 본 삼성전자

[출처] CATCH

  • 장점
    • 눈치 볼 필요 없이 연차 사용 가능하고 호황기때 성과금 잘 나옴
    • 유연근무제로 출퇴근 자유로움
    • 식당 밥 맛있음
    • 우수한 동료들
    • 복장이 자유로움
    • 밥, 교통 등의 실질적 지출에 대한 복지가 탄탄함
    • 선진 문화를 빠르게 받아들임
    • 능력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동기부여가 되고 배울점도 많다.
  • 단점
    • 근무지가 별로다 (평택, 천안, 아산)
    • 성과 중심이라 업무 스트레스가 있는 편
    • 업무량이 많은 편임
    • 일이 많을 때는 야근은 필수
    • 보고/수직적인 문화 잔재
    • 보상이 불투명함
    • 규모가 큰 만큼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음

 

🔍 기업이 말하는 삼성전자의 현황?

  • 2024년 신년사로 알아보는 삼성전자의 사업방향
    • 한종희(DX 부문장) 부회장과 경계현(DS 부문장) 사장의 신년사 
    • 초격차 기술에 기반한 본원적 경쟁력 강화
      •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 "경쟁사와의 격차 확대를 넘어 업계 내 독보적 경쟁력을 갖추자고 강조
      • 디바이스경험(DX) 부문에 "체감 성능, 감성 품질 등 품질 경쟁력을 가장 우선으로 고객 입장에서 사용성에 대한 근본적 고민과 탐구로 삼성전자만의 차별화 솔루션을 제공하자"고 당부
    • AI, Eco,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션 등 미래 변화 대응력 확보
      • 산업이 커지고 있는 인공지능 영역과 관련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용해 디바이스 사용 경험을 혁신하는 것은 물론, 업무에도 적극 활용해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꿔가자"고 말했다.
      • 에코 이노베이션에 대해서 "과거의 수동적인 친환경 대응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통해 미래 친환경적 제품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
      • "과거에 없던 인구 구조와 세대 변화 등 새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의 발굴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
    • 강건한 기업문화 구축
      • "리더들이 조직 내 정확한 소통과 격의 없는 건설적 토론을 통해 구성원들이 권한과 책임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
      • "회사의 발전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여정에 필요한 첫번째 약속은 준법 실천과 준법 문화 정착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달라"고 말했다.
  •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는 삼성전자의 현황 및 사업방향
    • 삼성전자 메모리 "초격차" 흔들, 2024년 저력 보인다
      • 삼성전자는 2024년 반도체 업황 개설과 함께 그동안 쌓아온 저력을 보여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메모리 반도체 산업이 2024년에는 수요 확대 및 공급 부족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회복하면서 삼성전자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3년 말부터 반등하기 시작한 D램의 가격은 2024년 50% 가까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D램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로서는 더할 수 없이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인공지능(AI)시장의 개화로 급격히 커지고 있는 HBM에서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을 따돌려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HBM 최대 생산량이 2024년 4분기 15만~17만장/월으로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HBM 생산량 12만~14만장/월을 웃돌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약 30%를 담당하는 중국 시안 공장의 공정을 기존 128단에서 256단으로 전환한다. 고부가가치 낸드 비중을 높여 수익성을 대폭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2024년 말에는 더블스택 기술을 활용해 300단 낸드플래시 양산을 들어간다. 반도체업계의 한 관계자는 “메모리반도체의 기술 개발 난이도가 계속 높아지면서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삼성전자와 경쟁사의 기술격차가 좁혀진 것은 사실”이라며 “그동안 삼성전자가 쌓아온 기술 노하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향후 경쟁우위 유지에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Business Post [삼성 위기, 돌파구 있나] 삼성전자 메모리 ‘초격차’ 흔들, 2024년 저력 보인다 - 나병현 기자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37864
    • "AI시대의 삼성, 이렇게 달라진다"... 한종의 부회장, 미래 사업방향 제시
      •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이 AI(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래 사업방향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AI를 핵심 사업 역량으로 지목하고 '개인 맞춤형 기능'을 강화한 신제품을 잇따라 선보일 예정이다. 한 부회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영 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미래 준비를 위한 인재와 기술 확보, 투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매일 사용하는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생성형AI를 적용하기 시작해 새로운 디바이스 경험으로 혁신할 계획" 한 부회장은 AI를 통한 개인 맞춤형 기술에 주목했다. 그는 "스마트폰과 TV, 가전, 자동차까지 연결된 사용자 경험은 보다 정교하게 개인화된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며 "여기에 AI가 접목돼 기기간 연결 경험을 넘어 고객을 가장 잘 이해하는 차원이 다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통합 플랫폼 스마트싱스에도 AI를 적용해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전자제품이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는 '캄 온보딩' 개념을 제품 구매 단계까지 확대 적용한다. AI 시대를 맞아 보안 솔루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기술 제공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프라이버시, 개인정보 등을 엄격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친환경 전략도 소개되었다. 올해 기존 냉장고에 열전소자를 더해 냉매와 소비전력을 크게 줄인 하이브리드 냉장고와, 필터 교체없이 전기 집진 방식으로 먼지 포집과 탈취까지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공기청정기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 [출처] "AI시대의 삼성, 이렇게 달라진다" ... 한종희 부회장, 미래 사업방향 제시 - 이재윤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11002345812478

 

🔍 삼성전자의 경쟁사?

  • DX 부문
    • 업계 선도 기업 : LG 전자
    • 그 외 경쟁사 : 일레트로룩스 등
  • DS 부문
    • 업계 선도 기업 : SK 하이닉스
    • 그 외 경쟁사 : 인텔, 마이크론 등
  • SDC 부문
    • 업계 선도 기업 : LG 디스플레이
    • 그 외 경쟁사 : 원익아이피에스 등

 

🔍 삼성전자의 기업 문화?

  • 경영 철학과 목표
    •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한다.
    • 인재 육성과 기술 우위 확보를 경영 원칙으로 삼는다.
    • 고객에게 최고의 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한다.
    • 인류의 공동이익과 풍요로운 삶을 위해 기여한다.
  • 핵심가치
    • 인재 제일
      • '기업은 사람이다'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인재를 소중히 여기고 마음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만들어 간다.
    • 최고 지향
      • 끊임없는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모든 면에서 세계 최고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 변화 선도
      •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신속하고 주도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실행한다.
    • 정도 경영
      • 곧은 마음과 진실되고 바른 행동으로 명예와 품위를 지키며 모든 일에 있어서 항상 정도를 추구한다.
    • 상생 추구
      • 우리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간다는 마음을 가지고 지역사회, 국가, 인류의 공동 번영을 위해 노력한다.

 

  • 인재상
    • 열정 : 끈임없는 열정으로 미래에 도전하는 인재
    • 창의혁신 : 창의와 혁신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인재
    • 인간미, 도덕성 : 정직과 바른 행동으로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인재

 

2️⃣ SK 하이닉스 기업분석

[출처] SK hynix

🔍 SK 하이닉스, 어떤 기업일까?

  • SK 산하의 종합 반도체 제조회사(IDM).
  • 반도체 업계의 호황기와 경쟁자의 해체, 집중적 투자로 인한 경쟁력 강화와 점유율 상승 등의 효과로 SK 그룹 계열사 중 3대 축이자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있음.
  • SK 하이닉스는 DRAM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주력 생산하는 종합반도체 회사
  • 반도체 부문
    • DRAM, NAND Flash, CIS 등

 

🔍 재직자가 본 SK 하이닉스

[출처] CATCH

  • 장점
    • 휴가 사용이 자유롭다
    • 복장이 자유롭다
    • 회식 강요 없다
    • 급여나 복지에서 정말 만족한다
    • 정시 퇴근 가능하다
    • 반도체 시장이 좋으면 성과급도 많이 준다.
  • 단점
    • 보수적이다
    • 개인 역량 고취에 별 도움이 안된다
    • 업무가 여러가지이며 사람들이 많아 처음에 적응하기 힘들다
    • 교대근무여서 업무 피로도가 쌓일 수 있다.
    • 이 업계에 한번 발을 들이면 커리어 선택폭이 고정될 수 있음
    • 성과중심이라 실적에 포커스되어있음

 

🔍 기업이 말하는 SK 하이닉스의 현황?

  • 2024년 신년사로 알아보는 SK 하이닉스의 사업방향
    • SK 하이닉스 대표이사 곽노정 사장
    • "내일을 향해 크게 도약할 시점"
      • 2024년을 SK 하이닉스 르네상스의 원년으로 삼고, ICT 혁신의 바람을 일으키는 주역이 되길 바란다"
      • 2023년은 원팀으로서 우리의 결속을 다지고 더 큰 미래를 향해 비상할 힘을 축적하는 기간이었다.
    • 챗 GPT의 등장으로 개막한 AI 시대는 사회 전반의 큰 변화를 가져왔고, 모든 산업과 문화의 기반으로 자리잡게 된 AI는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다.
      • HBM을 중심으로 시장에서 인정받은 최고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통해 SK 하이닉스는 AI 시대의 퍼스트 무버이자 글로벌 AI고객들이 가장 먼저 찾는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 잡았다.
      • 하지만, 현재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새로운 기술 개발과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바탕으로 AI 혁신을 주도해야한다.
      • 더불어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고객만족에 집중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지속되는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인해 위기가 일상이 되고 있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익성 위주의 사업 운용을 통한 내실 강화와 차세대 기술, 제품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병행하여 미래 시장을 선점해 나갈 것이다라고 다짐했다.
  •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는 SK 하이닉스의 현황 및 사업방향
    • SK 하이닉스 투자... 내년 10조 '승부수'
      • SK 하이닉스가 내년 설비 투자로 10조원가량을 집행한다. 올해보다 약 50% 늘어난 규모다. '반도체 해빙기'에 선제 대응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최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SK 하이닉스는 2024년 설비투자(CAPEX)로 10조원가량을 편성하기로 했다. 인공지능 시대에 수요가 급증하는 HBM 설비 증설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HBM 제작 기술인 실리콘관통전극(TSV) 기술과 공정 투자도 늘린다. 여기에 고부가가치 D램으로 통하는 DDR5, LPDDR5 등의 생산 설비에도 자금을 투입한다. D램 고정 거래가격이 2년 3개월 만에 전월 대비 상승하는 등 D램 시황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반면, 내년 상반기까지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낸드플래시 분야 투자는 최소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 [출처] 한국경제 SK 하이닉스 투자... 내년 10조 '승부수' - 김익환 기자, 황정수 기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10959311
    • 최태원 SK 회장, "SK 하이닉스, 반도체 사이클 고려 새 사업 방식 필요"
      • 최태원 SK 회장이 새해 첫 현장 경영으로 SK 하이닉스를 찾았다. 반도체 경기를 고려한 새로운 사업 전략을 주문했다. 최회장은 "역사적으로 없었던 최근 시장 상황을 교훈 삼아 골이 깊어지고 주기는 짧아진 사이클의 속도 변화에 맞춰 경영 계획을 짜고 비즈니스 방법을 찾아야 한다" 라며 "여러 관점에서 사이클과 비즈니스 예측 모델을 만들어 살펴야하고 특정 제품군만 따지지 말고 거시 상황을 파악해야하고 시장도 이제 세계 시장이 아니라 분화된 시장 관점에서 살펴야한다"라고 당부했다. 최 회장의 지적은 경기에 상관없이 안정적 실적을 거둘 수 있는 수익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회장은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수요 등 고객 관점에서 투자와 경쟁상황을 이해하고 고민해야 한다"며 글로벌 시장의 이해관계자를 위한 토털 솔루션 접근을 강조했다.
      • [출처] THEELEC 최태원 SK 회장, "SK 하이닉스, 반도체 사이클 고려 새 사업 방식 필요" - 윤상호 기자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5084

 

🔍 SK 하이닉스의 경쟁사?

  • 삼성전자
    • 종합 전자 기업
  • DB 하이텍
    • 반도체 위탁생산

 

🔍 SK 하이닉스의 기업 문화?

  • 목적
    • 기술 기반의 IT 생태계 리더로서 사회 구성원 모두와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듭니다.
  • 가치
    • Tenacity 강한 집념
    • Advanced Tech 기술 혁신
    • Prosperity Together 함께 성정
  • 등인
    • Leading Technology
    • Trusted Partnership
    • Shared Social Value

 

  • 인재상
    • VWBE
      • 자발적(Voluntarly)이고, 의욕적(Wilingly)인 두뇌 활용(Brain Engagement)하는 인재
    • SUPEX
      •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높은 수준까지 도전하는 인재
    • 패기
      •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높은 수준까지 도전하는 인재
    • 협업능력
      • 제품의 완성도를 위해 다양한 사람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경계를 넘어 협력하는 인재
    • 기술역량
      •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SK 하이닉스의 첨단 기술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인재
    • 사고력·실행력
      • 기술에 대한 집념으로 한발 앞서 시장을 읽고 움직이는 인재

 

이렇게 해서 우리나라의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기업분석을 마쳤습니다!

여러가지 알아보면서 현재 두 기업이 집중하고 있는 사업 전략이나, 최신 기술 동향 등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고, 정확하게 원하는 인재상이 무엇인지, 기업의 현 상황은 어떤지 등에 대한 것들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취업을 생각했을때는 '아니 뭐... 기업 분석까지 해야해..? 그거 아니어도 할 것들 많은데...' 라고 생각해왔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직접 기업분석을 해보면서 왜 기업분석을 해야하는지 필요성을 알 수 있었던 계기였습니다..!😂😂

제가 생각한 기업분석의 필요성은 자신이 지원할 기업에 대해서 분석해보고 알아보며 해당 기업에 합격할 수 있도록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 라고 생각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다들 이렇게 생각하시나요?

아무튼 남은 학부생 1년동안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을 들게 해준 미션이었습니다!

그러면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

 

SNS 링크 : https://pp-se-09.tistory.com/

 

PORTFOLIO_SY

 

pp-se-09.tistory.com

리드미 링크 : https://www.leadme.today/5801808498262016

 

김세영 님의 커리어 패스입니다. | 리드미 - LeadMe

Hy-Po 4기 A/5 김세영

www.leadme.today

(※ 본 게시물은 청년 Hy-Po 서포터즈 2기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