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외활동/ABC 지역주도형 청년 취업역량강화 ESG 지원산업

[ABC 220831 - 11일차] 4번째 특강

반응형

주제 : ESG 경영

ESG 개념 정리

  • E(Environment) : 친환경
    • 기업들이 ESG 경영에서 가장 신경쓰는 환경 이슈 부분!
    • 친환경 소재 활용, 탄소 제로를 목표로 사업 전반에 걸친 구조 개편
  • S(Social) : 사회적 책임 경영
    • 소홀한 인권 보호로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사회적 가치와 관련된 항목(공공이익 증대와 노동, 동반성장)들의 중요성이 높아짐
  • G(Governance) : 지배구조 개선
    • 기업은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을 높이고 있는 추세로 지배구조 개선은 그만큼 중요한 과제!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 책임투자 확대

 

ESG 경영 마케팅 사례

  • 배달의 민족
    • “일회용품 덜 쓰기” 운동으로 유엔 지속 가능 개발 목표 경영지수 상위그룹 선정
  • 당근마켓
    • 중고거래를 통한 자원 재사용으로 자원 절약 및 환경보호
  • H&M
    • 2030년까지 모든 옷을 친환경 소재로 만들겠다고 선언
  • 아마존
    • 배송용 차량 2만대를 전기차로 교체할 예정
    • 2030년대까지는 +10만 대 투입 예정

 

Sales / Marketing / Branding

  • Sales : 영업이나 물건을 직접적으로 파는 행위(단기정, 실천적)
  • Marketing : 가격을 정하고 상품을 만들고 판촉하는 등의 여러가지 행위(Market Share, 매출과 이익에 집중, 내가 나를 표현하는 방식)
  • Branding : 페르소나 매니지먼트(가면을 만드는 행위) → 기업 뿐만 아니라 개개인한테도 존재함
    • 개인 관점 페르소나 : 프로필사진 등
    • 기업 관점 페르소나 : 기업과 상품이 갖고 있는 페르소나, 인격, 철학, 존재 이유, 방향성

 

P.R and 광고

  • P.R : 매체에 의해(남이 이야기해 주는 것) (Public Relations)
  • 광고 :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Advertising)

마케팅은 직접 자신을 알린다.

광고는 지속적으로 자신을 알린다.

P.R은 다른 사람을 통해 자신을 알린다.

브랜딩은 상대가 먼저 자신을 알아보게 한다.

 

과거 vs 현재

  • (과거) 생활의 본능/욕구를 충족시키지 위한 소비
  • (현재) 소비로 자아를 표현하는 시대

 

브랜딩의 오류

  • 대부분의 기업들이 브랜딩을 할 때 주로 아름다운(?) 단어들을 갖고 온다
    • EX) 혁신적인, 미래지향적인, 크리에이티브 등
  • 단순히 예쁘다, 아름답다 등의 표현으로 구분 지으면 안된다.
  • 좀 더 특징을 잡아주는 단어가 브랜딩을 위한 단어이다.

 

브랜딩의 시작!

  • 도구적인 단어를 피하고 우리만의 단어를 찾는다.

 

브랜딩 키워드 예시

좋은 음식먹고 싶은 곳에서” ⇒ 배달의 민족

“인간의 정신에 영감을 불어 넣고, 더욱 풍요롭게 한다.” ⇒ 스타벅스

누구나 마음 편히 놀 수 있게” ⇒ 야놀자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인간적인 도구들을 제공해, 우리가 하고 배우고 소통하는 방식을 바꾼다” ⇒ 애플

유순한(다양성, 융통성, 의외성), 대담한(과감성, 재해석), 위트(여유로움, 위트, 즐거움) ⇒ 현대카드

 

Marketing Strategy

가격을 정하고, 상품을 만들고 판촉을 하는 등의 여러가지 행위(Market Share, 매출과 이익에 집중, 나를 내가 표현하는 방식)

 

소구점(Unique Selling Point)

Unique : 독특한, 고유의

Selling : 판매의, 판매하는, 팔리는

Point :지점, 점, 부분

  • **마음의 소리(리뷰)**를 읽어야 한다.
  • 소구점을 파악하는 방법은 하나 ⇒ 리뷰를 본다. (데이터를 통해서 마케팅 방법을 바꿈) 혹은 댓글로도 괜찮음.
  • 서비스나 제품을 판매하고자 할 때 구매자들이 이 제품을 사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매여정

  • 쉽게 말하면 우리가 구매하기 까지의 과정을 말함
  • 구매 여정을 파악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 구매 여정의 단계
    • 인지(발견) : 문제 해결이 필요함을 인식함
    • 고려(호감/질문) : 관심을 갖고 여러 옵션을 비교함
    • 결정(행동/추천) : 필요한 시점이 왔을 때 구매를 결정함. 구매가 만족스러운 경우 제품을 지인에게 추천함
  1. 인지시키고 친숙해지기
    1. 콘텐츠 A/B 테스트 → 토너먼트 형식으로 붙인 뒤 제일 효과 좋은 광고에 투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마케터 관점에서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
    • 무엇 때문에 구매하는지?
    • 무엇을 노출 시킬 것인지?(소재)
    • 무슨 색/이미지에 반응하는지
    • 우리 제품을 알고있는? vs 모르는? vs 써봤던 ( 타겟 )
    • 언제(시간) 반응 하는지
    • 어떤 채널을 쓰는지
  2. 어떻게 하면 우리 콘텐츠를 클릭할까?
  3. 관심을 갖고 고려하는 단계
  4. 어떤 키워드들을 잡고, 어떤 내용을 노출 시킬까?
  5. 구매 결정 단계
    • 메인타이틀 → 쇼핑몰의 간판, 이목 집중시키기
    • 이벤트 → 관심 증포시키기
    • 판매자의 물품 요약 → 제품 스펙 소개하기
    • 상품이미지 → 제품 어필하기
    • 상품 설명, 상품 정보 → 고객의 언어로 표현하기
    • 배송 정보, 유의사항 → 고객이 알고 싶어하는 내용 기재하기
    New PASONA 법칙
    • P : Problem 문제
    • A : Affinity 친근
    • S : Solution 해결책
    • O : Offer 제안
    • N : Narrowing Down 제한
    • A : Action 행동
    1. 코 끼기 영역 : 고객이 “어? 이거 뭐지?” 하고 관심을 가질만한 내역을 배치해야 이탈 없이 아래 내역까지 시선이 이동하게 됨
    2. 확신 영역 : 제품의 탁월함을 보여줌으로써 구매의 확신을 갖도록 함
    3. 상세정보 영역 : 고객이 최종 구매결정을 하기 전 궁금해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함
  6. 상세페이지 법칙
LIST